사람들은 고유의 성격과 성질을 가지고 있다. 그것은 주식투자에도 똑같이 적용이 된다. 이 포스팅을 읽고 있는 독자분들은 자신의 성격 그리고 투자성향을 알고 있는가? 이러한 주제에 관해서는 주식 카테고리 초반부에서 한번쯤은 다뤄야 된다고 생각하여 포스팅을 작성해보겠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0610385A7C828307)
투자의기본! 자신의 투자성향을 알아보자
재테크의 관점에서 투자성향은 진단테스트를 통해서 확실히 알아볼 수 있다. 본 칼럼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기전에 먼저 자신의 투자성향을 측정해보도록 하자. 투자성향은 교보생명사이트에서 진단할 수 있다.
https://www.kyobo.co.kr/webdocs/view.jsp?screenId=SWBMKFIM041&menuId=MN0000819&biztype=rp > 교보생명 투자성향 진단하기 사이트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4EA03E5A7C844719)
사이트로 이동하여 시뮬레이션 시작을 눌러 투자성향을 알아보자. 회원가입을 진행하지 않고 테스트도 간단하여 빠르게 알아볼 수 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899D3A5A7C843C36)
독자분들의 성향은 무엇이 나왔는가 ? 필자의 테스트 결과는 중립형이다. 추천 포트폴리오로는 원리금보장형 40% 와 채권혼합형 60%로 필자의 성향상 원금보존을 우선하여 수익을 고려하는 것과 매우 비슷하게 나왔다고 생각한다.
성향은 총 5가지로 안정형 / 안정추구형 / 위험중립형 / 적극투자형 / 공격투자형 으로 나눠지는데. 각 항목의 특징은 아래 사진과 같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7CD0335A7C852A01)
한번쯤 자신의 투자성향과 특징을 읽어보도록 하자. 여기서 추가적으로 참고해볼 사항으로는 아래의 금융투자협회의 일임형 ISA 투자자산 위험도 분류기준 자료가 있겠다. 한번 차근차근 읽어보도록 하자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DF6F335A7C852907)
투자성향에 따라서 포트폴리오의 분배를 논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기에 밑에 포스팅에서 본격적으로 투자성향과 연계하여 필자가 생각하는 투자전략에 대해 칼럼을 진행해보겠다.
투자성향에 따른 주식투자 전략!
▼ 주식투자 모든 정보 총정리 보러가기
주식투자 가이드북